10월유네스코 한국위원회와 “보편윤리와 아시아 가치”를 주제로 국제세미나 개최. 이한빈(명예회장) 개막연설. 발표, 토론 및 사회로 김경동, 김우창, 김원배, 김병국, 조형, 전상인, 정범모, 함재봉 회원 참여. 6월『땅과 한국인의 삶』(김형국 편, 나남출판) 발간 (한국토지공사 지원).
1998년
12월창립 30주년 기념행사 개최 [대한상공회의소]. 최정호(연세대), “正名과 미래”, 박경리(작가), "우리 삶에서 토지라는 것 - 소유에서 생명으로” 기념강연. 7월이홍구(주영대사) 회원 귀국 기념강연. 3월김형국 제3대 학회장 취임.
1997년
10월대한항공㈜의 지원으로 『하늘과 한국인의 삶』(최정호?이태원 공편. 나남출판) 발간. 9월『멋과 한국인의 삶』(최정호 편, 나남출판) 발간. 5월『커뮤니케이션의 유토피아? - 정보화와 한국인의 삶』(이헌조?최정호 공편, 나남출판) 발간.
1996년
2월덕산 이한빈 박사 고희기념『한국의 미래와 미래학』(덕산 이한빈 박사 고희기념논집 간행위원 회 편, 나남출판) 발간.
덕산 이한빈 박사 고희기념『행정과 나라만들기』(덕산 이한빈 박사 고희기념논집 간행위원회 편, 박영사) 발간.
『이한빈 회고록, 일하며 생각하며』(이한빈 저, 조선일보사) 발간.
1994
5월『물과 한국인의 삶』(최정호 편, 나남출판) 발간.
1993년
7월창립 25주년 기념행사 개최.
『산과 한국인의 삶』(최정호 편, 나남출판) 발간
학회지 <미래를 묻는다 제11권>(최정호 편, 나남출판)발간. 5월세미나 “서남 해안 개발과 신한국” 개최 [임광행 보해양조㈜ 회장 지원, 목포]. 김진현, 김형국, 이한빈, 최정호 발표 및 종합토론. 1월산과 한국인의 삶” 기획의 마지막 월례회 개최 [포항제철 주선, 포항제철 회관].
1992년
9월세미나 "학술진흥과 한국의 미래” 개최 [학술진흥재단 후원, 대한상공회의소 강당]. 7월“21세기로 가는 새로운 치산치수”의 첫 기획으로 “산과 한국인의 삶” 주제 하에 월례발표회 시작
1990년
9월대전 EXPO’ 93 조직위원회 주최, 미래학회 주관, 국제 심포지엄 "발전과 환경” 개최. J.미클로슈코(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부수상), 이한빈(부총리) 기조강연, J. P. 데 케야르(유엔 사무총장) 축하 영상. 『발전과 환경 -대전엑스포 제1회 주제심포지움 보고서』(대전 세계박람회조직위원회?한국미래학회 공편) 발간. 1월최정호 제2대 학회장 취임. 오명(체신부장관) 회원이 대전 세계박람회(EXPO) 조직위원장을 맡아 미래학회와 함께 EXPO를 홍보하는 국제 심포지엄을 기획 및 준비하기로 결정.